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피해라 - Effective Java[6]
똑같은 기능의 객체를 매번 생성하기보다는 객체 하나를 재사용하는 편이 나을때가 많다.
재사용은 빠르고 세련되다. 특히 불변 객체는 언제든지 재사용할 수 있다.
다음 코드는 절대 하지말아야 할 극단 적인 예이니 예를 통해 유심히 살펴보자.
String str = new String("kimchi");
위 코드의 문제를 찾았는가? 위 문장은 실행 될 때마다 String 인스턴스를 새로 만드는게 문제이다.
이러한 문장이 반복문이나 빈번히 호출되는 메소드 안에 있다면 쓸데 없는 String 인스턴스가 수백만 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아래의 개선된 코드를 보자.
String str = "kimchi";
위 코드는 새로운 인스턴스를 매번 만드는 방식 대신 하나의 String 인스턴스를 사용한다.
이 방식을 사용한다면 같은 가상 머신 안에서 이와 같은 똑같은 문자열 리터럴을 사용하는 모든 코드가 같은 객체를 재사용함이 보장된다.(String pool)
Step 1 : 생성자 대신 정적 팩토리 메소드를 제공하는 불변 클래스에서는 정적 팩토리 메소드를 사용해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피할 수 있다.
Boolean(String) 생성자 대신 Boolean.valueOf(String) 정적 팩토리 메소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생성자는 호출할 때마다 새로운 객체를 만들지만, 정적 팩토리 메소드는 그렇지 않다.
불변 객체만이 아니라 가변 객체라 해도 사용 중에 변경 되지 않을 것임을 안다면 재사용 할 수 있다.
Step 2 : 생성 비용이 ‘비싼 객체’가 반복해서 필요하다면 캐싱하여 재사용하라.
생성 비용이 비싼 객체도 종종 있다. 이런 비싼 객체가 반복해서 필요하다면 캐싱하여 재사용하길 권한다.
아래는 유효한 핸드폰 번호인지 확인하는 정규표현식 예제이다
이를 통해 무슨 말인지 살펴보자.
static boolean isPhoneNumber(String s) {
return s.matches("^01(?:0|1|[6-9])-(?:\d{3}|\d{4})-\d{4}$");
}
위 방식의 문제는 String.matches 메소드를 사용한다는 데 있다. String.matches는 정규 표현식으로 문자열 형태를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지만, 성능이 중요한 상황에서 반복해 사용하기엔 적합하지 않다.
왜!? 적합하지 않냐.. 그 이유는 matches 메소드가 내부에서 만드는 정규표현식용 Pattern 인스턴스는, 한 번 쓰고 버려져서 곧바로 가지비 컬렉션 대상이 된다.
Pattern은 입력받은 정규표현식에 해당하는 유한 상태머신을 만들기 때문에 인스턴스 생성 비용이 높다.
위 코드의 성능을 개선하려면 필요한 정규식을 표현하는 (불변)Pattern 인스턴스를 클래스 초기화(정적 초기화) 과정에서 직접 생성해 캐싱해두고, 나중에 isPhoneNumber 메소드가 호출될 때마다 이 인스턴스를 재사용한다.
;; 예시가 조금 별로인것 같다.. 이름이 맘에안드네..
public class PhoneUtils {
private static final Pattern PhonePattern = Pattern.compile("^01(?:0|1|[6-9])-(?:\d{3}|\d{4})-\d{4}$");
static boolean isPhoneNumber(String s) {
return PhonePattern.matcher(s).matches();
}
}
이런식으로 개선 하였을 때 isPhoneNumber가 빈번히 호출되는 상황에서 성능을 상당히 끌어올릴 수 있다.
Step 3 : 오토박싱은 기본 타입과 그에 대응하는 박싱된 기본 타입의 구분을 흐려주지만, 완전히 없애주는 것은 아니다.
불필요한 객체를 만들어내는 또 다른 예로는 오토박싱이 있다.
오토박싱이란 프로그래머가 기본 타입과 박싱된 기본 타입을 섞어 쓸 때 자동으로 상호 변환해주는 기술이다.
다음의 오토박싱 예제를 통해 무엇이 문제인지를 확인해보자.
private static long sum() {
Long sum = 0L;
for ( long i = 0; i <= Integer.MAX_VALUE; i++ ) {
sum += i;
}
return sum;
}
위 코드는 정상 동작하지만, 제대로 구현했을 때보다 훨씬 속도가 느리다.
이유가 무엇일까? 바로 Long에 대한 오토박싱 때문이다.
sum변수를 long이 아닌 Long으로 선언해서 불필요한 Long 인스턴스가 Integer.MAX_VALUE 만큼 만들어 진것이다.
박싱된 기본 타입보다는 기본 타입을 사용하고, 의도치 않은 오토박싱이 숨어들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참조 - 이펙티브 자바 3/E - 조슈아 블로크
Comments